목차
- 1. Hyper-V 설치
- 2. VM 생성
- 3. Ubuntu 설치
- 4. IP 고정하기
- 5. Redroid 설치
- 6. Iris 설치
- 7. 실행 - 서비스로 실행
- 8. 실행 - 디버그모드로 실행
- 9. 설정
- 10. iris_bot 실행하기
Iris
본 가이드에서는 redroid 환경을 소개하고 있으며, android adb의 특성 상 “인증”이 없으므로,
공인IP가 외부에 노출된 서버환경에서 설치 시(예: 공유기 X)에는 추가적인 접근제어를 반드시 적용하여야 합니다.
Iris가 동작하는 환경은 Android 9 이상의 루팅된 안드로이드 환경입니다.
따라서, 루팅된 휴대폰, 태블릿, 앱플레이어, Redroid 등등 대부분 환경에서 작동합니다.
(휴대폰, 태블릿의 루팅은 각자 진행하시고 휴대폰에서 irispy-client 봇 돌리기 영상을 참조 바랍니다.)
이 중 Redroid는 기본적으로 root 권한을 바로 사용할 수 있고, 안드로이드 쉘에 진입하지 않아도 안드로이드 외부에서 내부의 파일을 마음대로 액세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Windows에서 Redroid를 설치하는 것은 Windows의 무거움때문에 추천하지는 않으나,
리눅스를 메인호스트로 두면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계셔서 Windows에서 가장 쉬운 설치법을 안내합니다.
(VMware, virtualbox 를 이용하여 VM을 만드는것도 가능하고, 굳이 Redroid를 사용하지 않고 AVD를 통해 리눅스 VM 없이 안드로이드 인스턴스를 이용하는 방법도 가능하고, 안드 9 이상 App player들을 이용하는것도 가능합니다.)
우분투를 메인호스트로 설치해두었다면 1,2,3,4번은 스킵하고 5번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.
자세한 내용은 iris 설치 가이드 영상을 확인해주세요.
iris 문서를 확인하세요.
iris, iris_bot, 가이드 영상 제작자 돌다리님
iris 문서 제작자 nolbo님
1. Hyper-v 설치
※ Home 버전 윈도우는 아래 링크 참조
-
Professional 버전 윈도우는 Win+R 키를 누른 후 appwiz.cpl을 입력합니다.
-
Windows 기능 켜기/끄기를 선택합니다.
-
Hyper-V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.
2. VM 생성
-
Hyper-V 관리자를 실행합니다.
-
새로 만들기 -> 가상컴퓨터를 선택합니다.
-
가상컴퓨터 설정을 하고 마침을 누르면 VM생성이 완료됩니다.
- 이름 : redroid
- 세대 : 2세대
- 메모리 : 최소 4Gb 이상(8Gb 권장)
- 네트워크 : Default Switch
- 가상하드디스크 : 기본설정
- 설치옵션 : 부팅 가능 CD/DVD-ROM에서 운영체제 설치 - 다운로드 받은 ubuntu 서버 이미지
※ ubuntu-24.04.3-live-server-amd64.iso를 다운로드 합니다
- 보안부팅 해제 후 시작
- 설정 - 보안 - 보안부팅 사용 해제
- 적용
- 시작
3. Ubuntu 설치
-
부팅메뉴가 등장하면 Try or Install Ubuntu를 선택합니다.
-
English 선택
-
Continue without updating 선택
-
Keyboard 설정 변경없음
-
Ubuntu Server(기본) 선택
-
네트워크 DHCP 선택. 이때 화면에 나타나는 IP를 기억해두세요.
-
Proxy 빈칸 엔터
-
Mirror 설정 http://mirror.kakao.com/ubuntu/ 로 변경
-
Use Entire disk 선택(기본)
-
파티션 요약화면 엔터 후 Continue 선택
-
이름, hostname, username, 비밀번호 설정
-
Ubuntu Pro는 skip for now
-
Install OpenSSH Server 선택
-
추가패키지 아무것도 체크하지 않음.
-
Reboot Now 가 뜨면 엔터 후 미디어를 꺼내라고 하면 상단 메뉴의 미디어 - DVD 꺼내기 선택 후 엔터
-
부팅이 완료되었다면 X를 눌러 콘솔화면을 종료합니다.(콘솔화면을 종료해도 VM이 꺼지지 않습니다.)
-
Windows 터미널에서 ssh로 접속합니다.(VM 내에서 작업은 불편합니다)
6번 절차에서 IP를 기억해두지 않았다면 VM에 로그인하면 인사메세지에 IP가 보입니다.
4. IP 고정하기
- Hyper-V에서 Internal Switch 만들기
Hyper-V 관리자 실행
오른쪽 메뉴 → 가상 스위치 관리자 클릭
내부(Internal) 선택 후 새로 만들기 → 이름은 아무거나 지정후 저장
이러면 윈도우 네트워크 어댑터 목록에 vEthernet (스위치 이름) 라는 가상 어댑터가 생겨요. (제어판 →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→ 어댑터 설정 변경에서 확인 가능)
- 윈도우에서 인터넷 공유 켜기
이제 호스트(윈도우) 네트워크를 VM에 공유해야 합니다.
윈도우에서 현재 인터넷 연결 중인 어댑터(예: Wi-Fi) 오른쪽 클릭 → 속성
공유 탭 클릭
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 체크
“홈 네트워킹 연결” 드롭다운에서 만들어둔 가상 어댑터 선택
확인
이렇게 하면 윈도우가 NAT 라우터처럼 동작해서 가상 어댑터 쪽으로도 인터넷을 뿌려줍니다.
- Ubuntu VM에 고정 IP 설정하기
VM의 네트워크 어댑터를 만들어둔 가상 어댑터를 연결한 뒤, Ubuntu에서 직접 고정 IP를 줍니다.
VM 설정 → 네트워크 어댑터 → 만들어둔 가상 어댑터 선택
ssh에 연결해 네트워크 설정 파일 편집
sudo nano /etc/netplan/01-netcfg.yaml안에 아래 내용 넣기
network: version: 2 renderer: networkd ethernets: eth0: dhcp4: no addresses: - 192.168.137.2/24 routes: - to: default via: 192.168.137.1 nameservers: addresses: - 8.8.8.8 - 1.1.1.1ctrl + x 누르고 y 누르면 저장이 되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저장한다
sudo netplan apply이렇게 하면 ssh 연결할때 ssh 192.168.137.2로 연결 가능
5. Redroid 설치
- iris_control을 다운로드 받습니다.
wget https://github.com/dolidolih/Iris/releases/latest/download/iris_controlchmod +x iris_control- iris_control을 이용하여 redroid를 설치합니다.
./iris_control install_redroid- 다른 터미널 창을 열어 adb, scrcpy로 접속합니다.
- Windows (64비트 대부분 PC) → scrcpy-win64-v3.1.zip
- Windows (32비트 PC) → scrcpy-win32-v3.1.zip
- Linux (x86_64, 일반적인 데스크탑/노트북용 리눅스) → scrcpy-linux-x86_64-v3.1.tar.gz
- macOS (Intel CPU, x86_64) → scrcpy-macos-x86_64-v3.1.tar.gz
- macOS (M1/M2/M3 같은 Apple Silicon, aarch64) → scrcpy-macos-aarch64-v3.1.tar.gz
#scrcpy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cd ~./adb connect 봇IP./scrcpy -s 봇IP- 카카오톡 설치
split apk로 나오고 있어서 apkpure 등에서 xapk 등등을 받은 후 파일명 뒤에 .zip을 붙이고 압축을 해제합니다.
adb -s BOTIP install-multiple (get-item *.apk)좀 더 쉬운방법
- apkpure 등에서 xapk 등 다운로드 합니다
- Microsoft Store 에서 App Installer (Mobile) - WinUI 3을 다운로드 합니다
- 설정버튼에 들어가 redroid_x86_64 클릭, For WSA only? 해제, 뒤로가기 합니다
- 카톡이 설치가 되면 scrcpy가 끊어질 건데 다시 접속해 주면 됩니다.
6. Iris 설치
ssh 연결된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.
sudo apt install adbadb connect 봇IP./iris_control install7. 실행 - 서비스로 실행
adb connect 봇IP./iris_control start./iris_control status./iris_control stop위 세가지 기능을 통해 시작/확인/정지가 가능합니다.
---
8. 실행 - 디버그모드로 실행
adb shellsuapp_process /data/local/tmp/Iris.apk / party.qwer.iris.Main위의 방법으로 실행하면 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, Ctrl+C를 눌러 종료하는 즉시 Iris가 종료됩니다.
9. 설정
윈도우 컴퓨터의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아래 주소에 접속합니다.
10 iris_bot 실행하기
※ 자세한 내용은 https://github.com/dolidolih/iris_bot 을 확인하세요
- 저장소 복제 및 Python 가상 환경 설정: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세요
cd ~git clone https://github.com/dolidolih/iris_botcd iris_botpython -m venv venv
# 가상 환경 활성화 (Windows의 경우 venv/Scripts/Activate.ps1)source venv/bin/activate
pip install -U pippip install -r requirements.txt
iris init- Admin User ID 설정
iris admin add <user_id>- KakaoLink 설정(Optional)
iris kakaolink <app_key> <origin>- 서비스 설정(Optional)
iris service createiris service start/stop/status